이차전지

하이니켈 양극재 제조 공정에 대한 이해

공대생P 2023. 4. 10. 21:47

안녕하세요. 공대생P 입니다. 인터배터리 엘앤에프의 전시회에서 하이니켈 전극의 제조공정을 소개하였는데요. 해당 제조공정 내용을 기반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용량을 담당하는 양극재 소재가 어떤 공정과 방법으로 제조되는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배터리 대표 소재인 양극에 대한 개념과 종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신 분들은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신 후 내용을 보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리튬이온배터리 NCM 양극재(Cathode)에 대한 이해와 양극재 종류

 

리튬이온배터리 NCM 양극재(Cathode)에 대한 이해와 양극재 종류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전지의 용량에 관계되는 양극재(Cathode)는 매우 중요한 소재 중 하나이다. 현재 전기차 시장에서는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늘리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주행거리가 증가하기

sm10053.tistory.com

하이니켈 전극은 크게 전구체(Precursor)와 반제품(Bare)으로 나뉩니다. 이 차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구체 제조공정은 니켈, 코발트, 망간 전이금속이 결합된 무기물 구조이며, 반제품은 이 구조 내부에 리튬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구체(Precursor) : 리튬을 첨가하기 전의 전극

반제품(Bare) : 리튬이 첨가된 후의 전극

NCM811 제조과정 모식도
NCM811 제조과정 (출처 : Energies   2022 ,  15 (16), 5794)

 

 

1. 전구체 제조공정

전구체는 대표적으로 화학적 공침법(Co-precipitation)을 이용하여 합성되는 물질입니다. pH나 특정 화합물을 사용하여 입자의 크기 및 형상을 제어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제작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크게 9가지로 구분되어 진행되고 있습니다.

 

원료용해→정제 및 농도조절→원료공급→반응 및 저장→여과 및 세정→건조→체거름→전자석탈철→포장

 

원료용해 : 전구체 반응에 필요한 원재료를 용해

정제 및 농도조절 : 제조하고자 하는 Ni, Co, Mn의 비율과 농도를 조절하고 불순물을 제거 

원료공급 : 농도 조절 후 pH를 조절하는 시약인 NaOH, NH4OH를 준비

반응 및 저장 : NaOH, NH4OH 시약들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교반 하여 물리-화학적 공침법을 이용하여 전구체 합성

여과 및 세정 : 전구체와 반응여액을 여과 및 분리, 불순물 추가 제거 

건조 : 고온에서 건조하여 전구체 내부 수분제거

체거름 : 물리적인 입자 크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제품 순도를 향상함

전자석 탈철 : 고전류 자기장을 이용하여 자성금속 불순물 제거

포장 : 제조된 제품 포장

 

 

 

2. 반제품(Bare) 제조공정

반제품은 제조된 전구체에 리튬을 포함하는 화합물인 LiOH, Li2CO3를 혼합 및 고온에서 화학반응을 통해 완전한 전극으로 반응시키는 공정입니다,

 

원재료투입→정밀 계량 및 혼합→충진→소성→포장

 

원재료투입 : 주 원재료인 전구체와 리튬(LiOH, Li2CO3)을 보관 및 준비

정밀 계량 및 혼합 : 정밀 계량기를 활용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비율로 균일한 혼합물 제조

충진 : 혼합품을 소성하기 전 혼합품을 세라믹 용기에 정량계량

소성 : 높은 온도의 소성로에서 화학반응(소결)을 유도하여 양극활물질(Cathode)로 제조

포장 : 제조된 제품 포장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표 양극재인 하이니켈 NCM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배터리 시장에서 고용량 에너지를 구현하는 만큼 제품 관리가 까다롭고 공정 난이도가 높은 제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음시간에는 또 다른 유익한 정보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포스팅이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