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전기차 업계 소식

LFP 소재, 롯데에너지 국내 첫 생산 예정

공대생P 2024. 12. 16. 21:02

중국이 장악한 'LFP' 핵심소재, 롯데에너지가 국내 첫 생산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중국이 장악한 'LFP' 핵심소재, 롯데에너지가 국내 첫 생산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핵심소재를 생산한다. 국내에서 리튬인산철 배터리 양극재를 자체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설비가 마련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국내에

www.thelec.kr

 

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디일렉에서 발췌한 LFP 핵심소재, 롯데에너지에서 생산하는 뉴스기사를 공유드립니다. 

 

 

1. 국내 최초 LFP 배터리 양극재 대량 생산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전북 익산 2공장 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재 파일럿 라인을 이달 내 준공 예정.

- 연산 1000t 규모로 설계되었으며, 초기 소량 생산 후 가동률을 점차 확대할 계획.

 

 

2. 기존 설비 활용 및 빠른 전환

- 과거 삼원계 양극재 생산 라인을 리튬인산철 생산으로 개조하며 신속한 전환 가능.

- 국내 배터리 기업 등 잠재 고객사에 샘플을 제공 중이며, 평가를 거쳐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 예정.

 

 

3. 국내 LFP 배터리 산업 동향

-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주요 기업이 LFP 배터리 상용화에 참여.

- LG에너지솔루션: 르노, 테라젠 등과 대규모 공급 계약 체결.

- 삼성SDI: ESS 전용 LFP 배터리 생산 라인 구축에 약 1조 원 투자.

 

 

중국 의존도 낮추는 계기

- 국내 LFP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핵심 소재 대부분이 중국에 의존.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의 파일럿 라인과 대규모 투자는 국내 자급 체계 구축에 기여 가능.

 

 

리튬인산철의 특징

- 주원료: 리튬, 인, 철로, 삼원계 배터리보다 가격 경쟁력 있음.

- 단점: 에너지 밀도는 낮지만 ESS, 전기차 등에서 활용도가 높아 성장 전망이 밝음.

 

 

미래 사업 확장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LFP 양극재 외에도 전고체 배터리 소재, 실리콘 음극재 등으로 사업을 확장해 매출 다변화 계획.

 

 

정부의 지원

리튬인산철 배터리 개발 사업에 230억 원 투입, 4년간 160억 원 지원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