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이번 글은 정보를 공유드리는 포스팅은 아니고, 최근 연이어 폭락하고 있는 국내 주식시장과 관련된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그냥 얘는 이렇게 생각하는구나 정도로 가볍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미국대선결과
2024. 11. 05 미국 대선이 있었습니다. 바이든의 뒤를 이으려는 해리스와 재선을 목표로 하는 트럼프의 대결이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트럼프가 승리하게 되었고, 정권을 다시 탈환할 수 있었습니다. 이상하게도(?) 국내 언론은 해리스의 사전 지지율이 높아 당선 가능성을 예상하였으나 결과는 트럼프였습니다. 트럼프가 당선되자마자 국내 2차 전지 회사들의 주가가 폭락하기 시작하였습니다.
2. IRA법안 폐지가능성과 트럼프의 관세정책
위 차트에 나와있는 미 대선 기준으로 급격하게 급락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아무래도 선거 전 트럼프의 인플레이션 감축법 IRA(Inflation Reduction Act)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 때문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IRA 법안은 바이든 행정부에서 발의한 법안으로 친환경 기술의 개발과 채택을 장려하기 위한 세금감면 혜택을 주는 법안입니다. 배터리 제조에 있어서 특정 원자재를 북미나 미국의 FTA 체결국에서 조달할 경우 인센티브를 주기 때문에 국내 배터리 회사들이 미국에 다수 진출한 원인이기도 합니다.
트럼프의 행보를 보면 그전부터 지금까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라는 슬로건을 외쳐왔습니다. 무조건 적으로 미국이 이득을 취하는 방향을 원하는 사람입니다. 트럼프는 IRA법안이 비효율적이라 비판하였고, 폐지 의사를 내비쳤습니다. 그런 트럼프가 당선이 되었기에 IRA 폐지 가능성이 현실화되면서 IRA 혜택을 받는 국내 2차 전지 업체들의 주가가 폭락이 된 것입니다.
하지만 길게 보면 저는 오히려 국내 업체에게 더 좋은방향이 될 수 있다 생각합니다. 과거 트럼프는 중국과 무역전쟁을 한 경험이 있습니다. 중국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였고, 중국 또한 이에 대응으로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하면서 무역전쟁을 치렀습니다. 이번 트럼프 2기에서도 또한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번에는 이전의 25%에서 60%까지 부과할 것을 예고했습니다. ㅋㅋ 그렇다면 결과적으로 중국의 전기차는 미국내에 수입되어 판매하기 어려울 것이고 결과적으로 수혜를 입는 건 미국 내 가동하는 국내 배터리 3사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3. 조력자 일론머스크와 나의 행복회로
이번 선거에 주목말한만 점은 일론머스크의 트럼프 후원이었습니다. 일론머스크는 노골적으로 트럼프를 지지하였고, 결과적으로 트럼프 당선의 1등 공신이 되었습니다. 트럼프는 11월 13일 기준 일론머스크를 '미정부효율부' (Department of Governmnet Efficiency) 수장으로 발탁하였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테슬라의 방향은 더욱이 유리한 방향으로 흘러가게 될 것입니다.
테슬라가 미국 정부의 힘을 얻고 성장하게 된다면 중국에게 밀려 잠시 주춤하였던 전기차 시장에서의 점유율, 판매량이 개선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결과적으로 폭탄관세가 부과되는 중국업체의 판매제품과 반대의 국내제품 가격을 비교하면 국내제품의 선택도가 높아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다시 한번 국내 업체들의 좋은 실적을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요새 국내 주식에 대한 신뢰가 너무 깨지긴 하였지만, 다시 한번 K-배터리의 우수한 실적과 함께 증시를 끌어올렸으면 좋겠습니다.
'이차전지&전기차 업계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FP 소재, 롯데에너지 국내 첫 생산 예정 (1) | 2024.12.16 |
---|---|
전기차 자율주행 규제 완화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FSD, Level?) (2) | 2024.11.18 |
LG에너지솔루션 & 스페이스X 배터리 공급과 향후 전망 (7) | 2024.11.13 |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정리 (테슬라, 벤츠, BMW, 폭스바겐, 아우디등) (2) | 2024.11.11 |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정리 (현대, 기아, KGM) (8) | 2024.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