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45 전구체 프리 삼원계 양극재 제조공정에 대한 이해 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이번 2025 인터배터리 전시회를 참관하면서 다양한 기업들이 소개하는 기술 중 하나는 '전구체 프리'라는 문구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구체 프리 기술이 어떤 제조방법을 거치고, 어떤 의미인지 공부해 보겠습니다. 1. 전구체(Precursor)란?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3428 LG화학, 전구체 프리 양극재 국내 최초 양산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LG화학이 국내 최초로 전구체 프리 양극재(LPF: LG Precursor Free)를 양산한다.LG화학은 5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5’에서 전구체 프리 양극재를 처음 공개하며, 상반기www.thelec.kr대표적인 양극재.. 2025. 3. 23. [이벤트] 인터배터리에서 저를 찾으면 시원한 커피를 사드립니다! 📢 인터배터리 깜짝 이벤트! ☕️🎉내일 인터배터리 2025에서 저를 찾아오시면 커피 한 잔 쏩니다! 😆저는 블로그 ‘공대생p의 나머지공부’를 운영하는 공대생p입니다.🎯 이벤트 참여 방법1️⃣ 행사장에서 공대생P 또는 두디스를 찾는다. (피드 인상착의 참고!)2️⃣ “블로그 잘 보고 있습니다!”라고 말한다.3️⃣ 시원~한 커피 한 잔 GET! ☕️📅 일정✅ 3월 5일(수) - 공대생P✅ 3월 6일(목) - 두디스📍 인터배터리 2025 | 서울 코엑스📢 시간 및 위치는 인스타그램으로 실시간 공유 예정!인스타계정 : @enginerd_p🔍 힌트: 이차전지 관련 부스를 구경하며 돌아다닐 예정입니다. 배터리 산업이야기 모두 환영!배터리 덕후들, 네트워킹도 하고 커피도 한 잔 하러 오세요! 🚀💙 2025. 3. 5. 탭밀도(Tap density)와 겉보기밀도(Bulk density): 차이점과 배터리 전극에서 중요성 배터리 소재를 연구하거나 분말 형태의 물질을 다룰 때 탭밀도(Tap Density)와 진밀도(True Density)라는 개념이 자주 등장합니다. 이 두 가지 밀도 값은 소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리튬이온배터리 음극·양극재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탭밀도와 진밀도의 차이점, 측정 방법, 그리고 배터리 산업에서의 중요성을 알아보겠습니다. 1. 밀도의 정의와 밀도의 종류 양극재 및 음극재의 활물질인 NCM, LFP, Graphite 등의 소재는 분말(Powder) 형태로 공급됩니다. 이때 중요한 특성 중 하나가 탭밀도(Tap density)입니다. 왜냐하면 탭밀도에 따라 전지의 에너지밀도가 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 그림은 여러가지 타입의 밀도의 종류를 의미하는 그림입니다. 순서.. 2025. 2. 19. LFP 리튬인산철 양극재 제조 공정에 대한 이해 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리튬인산철 양극재의 시장에서 사용되는 공정과 기타 다른 합성 공정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LFP(리튬인산철) 양극재란?LFP 양극재의 풀 네임은 LiFePO4로 리튬, 철, 인산이 결합된 무기물 형태의 양극재입니다. 현재 세계 배터리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업체에서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는 소재입니다. 리튬인산철 양극재의 좀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 부탁드립니다.리튬인산철 배터리 장점과 단점 (LiFePO4) 리튬인산철 배터리 장점과 단점 (LiFePO4)안녕하세요. 공대생P 입니다. 세계 최대 전기차 회사인 테슬라 및 여러 전기차 회사들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채택으.. 2025. 2. 11. 흑연의 전기전도도가 좋은 이유 (구조, sp2, 비편재화된 전자, 결정성) 흑연은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재료입니다. 이 글에서는 흑연의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이유와 그 특성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 흑연의 층상 구조와 전도성흑연은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재료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흑연의 전기전도도가 좋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흑연의 우수한 전기 전도성은 여러 가지 특성에 기인합니다. 먼저, 흑연은 특유의 층상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층상 구조는 탄소 원자들이 육각형의 평면 구조로 배열된 형태로, 각 층은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어 전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흑연의 층상 구조는 전기적 특성뿐만 아니라 기계적 특성에서도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층이 미끄러지기 쉬운 특성 덕분에 흑연은 연필심이.. 2024. 12. 5. 음극재 천연흑연과 인조흑연의 차이점 (구조, 제조방법, 배터리성능)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리튬이온배터리를 구성하는 4대 소재 중 하나인 음극재인 흑연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흑연은 천연흑연과 인조흑연이 있는데요. 이 두 가지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성 요소 중 음극재의 역할리튬이온배터리를 구성하는 4대 소재는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 음극재는 충전 과정 중 양극에서 빠져나온 리튬이온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소재 측면에서 얼마나 안전하게 리튬이온을 잘 받아들이는가에 따라 배터리 성능과 수명에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이해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참조 포스팅을 보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리튬이온배터리의 작동원리 설명 (충전과 방전) 리튬이온배터리의.. 2024. 11. 29.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