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공대생P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내연기관 차량을 제외한 현재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차량들에 대한 용어정리를 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전기차 시대에 들어서면서 수많은 전기차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이외에 다른 형태의 차세대 자동차들이 출시되면서 가끔 용어의 정리가 명확하지 않아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따라서 전기차(EV), 하이브리드차량(H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의 정의, 원리 및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2.1. HEV(Hybrid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불리는 HEV입니다. 최근 하이브리드 차에 대한 인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차는 기존의 내연기관과 전기차를 혼합한 형태입니다. 자동차의 연료는 내연기관과 같은 원료인 가솔린을 사용하지만, 별도의 저용량을 갖는 배터리를 갖고 있습니다.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회생 제동'을 통해 전기를 충전하여 전기에너지로도 주행이 가능한 자동차입니다. 회생제동은 내연기관에서 발생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회생제동으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하고 주행에 도움을 주어 차량 연비를 향상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2.2.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기존의 하이브리드 차량 형태에서 별도의 전기에너지 충전시스템을 추가한 것입니다. 가솔린연료 탱크도 보유하면서 전기에너지 충전을 가능하게 하여 두 가지 타입의 충전이 가능합니다. 보통 추천하는 용도로는 전기에너지가 가솔린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단거리주행에 너는 전기에너지, 장거리 주행인 경우에는 가솔린을 사용합니다.
2.3. BEV(Battery Electric Vehicle)
EV라고 불리는 BEV는 말 그대로 순수전기차입니다. 내연기관 시스템을 완전히 제거하고 순수한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로만 구동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배터리의 성능이 자동차의 성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있습니다. 최근 EV의 성장세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테슬라를 필두로 Model 3, Model Y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택시로 주로 사용되는 아이오닉 5, 기아의 EV6 등 다양한 모델이 양산되어 판매되고 있습니다.
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에 대한 원리 및 설명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의 작동원리 설명 (충전과 방전)
세계적인 전기차 회사 테슬라의 등장으로 인해 전기차의 시대가 시작되었고, 동력원인 리튬이온 배터리가 엄청난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다. 전기차의 핵심부품인 배터리, 현재 상용으로 사용되
sm10053.tistory.com
'이차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압 미드니켈에 대한 이해 (LFP의 대항마) (3) | 2024.10.17 |
---|---|
전극성능을 개선시켜주는 프라이머 코팅 기술 (접착력/저항/부식) (2) | 2024.06.10 |
겨울철 LFP 배터리 성능은 왜 안좋을까? (3) | 2023.11.21 |
LG화학 에코프로 엘앤에프가 주목하는 양극재 단결정 (0) | 2023.09.21 |
코인셀 평가의 단점 : 파우치셀 평가를 하는 이유 (0) | 2023.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