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차전지41

고전압 미드니켈에 대한 이해 (LFP의 대항마) 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전압 미드니켈' 기술에 대한 이해와 왜 이 기술을 적용하려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현재 배터리 시장 상황현재 배터리 시장은 CATL을 필두로 중국 업체들이 선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이유는 중국 업체들의 주력 배터리는 LFP 양극재를 사용하기 때문인데요. NCM양극재를 주요 물질로 사용하는 국내 배터리 3사와 달리 LFP 양극재는 가격이 매우 싸기 때문에 배터리 제조 시 단가 경쟁력이 매우 높습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에너지밀도는 높지만 가격이 비싼 NCM양극재를 사용하는 대한민국이 차지하는 전체적인 점유율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미국과 유럽이 중국업체들에 규제를 가한다고 하여도 중국은 매년 무섭.. 2024. 10. 17.
전극성능을 개선시켜주는 프라이머 코팅 기술 (접착력/저항/부식) 안녕하세요. 공대생P 입니다. 오래간만의 포스팅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극기술 중 하나인 프라이머 코팅 기술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프라이머 코팅이란 무엇인가?프라이머 코팅(Primer-coating)은 전극 집전체에 특정 물질을 코팅하여 전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적용되는 물질로는 주로 고분자나 전도성 입자로 이루어져 있는 혼합물입니다. 또한 양극과 음극 구별 없이 양극집전체-Al, 음극집전체-Cu 모두 적용되는 기술입니다. 그렇다면 프라이머 코팅은 왜 필요한 걸까요?    2. 프라이머 코팅이 필요한 이유2.1 전극구성물질 간 접착력 강화배터리에 사용되는 전극은 다음 그림과 같이 집전체(Current collector)를 기반으로 합제(활.. 2024. 6. 10.
HEV, PHEV, EV 자동차의 원리 및 차이점 안녕하세요. 공대생P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내연기관 차량을 제외한 현재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차량들에 대한 용어정리를 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전기차 시대에 들어서면서 수많은 전기차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이외에 다른 형태의 차세대 자동차들이 출시되면서 가끔 용어의 정리가 명확하지 않아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따라서 전기차(EV), 하이브리드차량(H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의 정의, 원리 및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2.1. HEV(Hybrid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불리는 HEV입니다. 최근 하이브리드 차에 대한 인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차는 기존의 내연기관과 전기차를 혼합한 형태입니다. 자동차.. 2023. 12. 3.
겨울철 LFP 배터리 성능은 왜 안좋을까? 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테슬라 모델 Y에 탑재된 LFP배터리의 저온성능에 대한 이슈가 많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LFP는 저온성능이 좋지 않은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LFP 배터리라고 불리는 배터리는 리튬인산철(LiFePO4) 소재를 양극재로 사용하는 리튬이온배터리입니다. 현재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1위인 중국에서 주력으로 생산하는 배터리입니다. 리튬인산철 양극재는 구성원소 중 철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철은 지구에 풍부하고 가격이 싸기 때문에 리튬인산철 양극재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 LFP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의 단점으로 거론되는 것이 저온특성입니다. 논문의 연구결과를 보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 그래프 (a), (b)는 하프셀을 제작하여.. 2023. 11. 21.
LG화학 에코프로 엘앤에프가 주목하는 양극재 단결정 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최근 에너지밀도를 결정짓는 양극 소재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차세대 전극 소재의 기술이라 불리우는 양극재 단결정(Single crystal) 기술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1. 단결정 양극재란? 최근 양극재 회사들이 앞다투어 개발하는 기술 중 하나는 단결정 양극재 입니다. 아래 기사는 전자신문 디일렉의 기사입니다. 최근 LG화학이 하아니켈단결정양극재 양산에 성공했다는 기사 입니다. LG화학 뿐만 아니라, 양극재 주요 회사인 에코프로그룹, 엘앤에프, 유미코아 등 많은 회사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왜 이 기술을 기업들이 앞다투어 개발하려고 하는 것인지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다결정의 단점(Polycrystalline) 아래 그림은 해당 두.. 2023. 9. 21.
코인셀 평가의 단점 : 파우치셀 평가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배터리소재 관련 업체에 종사하시는 분들이면 코인셀 실험을 필수적으로 해본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이번 글은 현업에서 근무하면서 느낀 코인셀 평가의 단점과 그 원인들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1. 단점 코인셀 평가의 가장 큰 문제점은 데이터의 신뢰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 단점입니다. 특정 소재를 사용하여 완전 셀(Full cell)을 제작하여 충방전 평가를 할 경우 전지 용량에 대한 산포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습니다. 더 나아가서 소재를 직접제작(양극코팅, 음극코팅, 분리막 제막)하여 코인셀을 조립하는 경우 산포가 더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2. 원인 2.1. 코인셀 부품 (Parts) 첫 번째로 제가 생각하는 원인은 코인셀 부품 입니다. 코인셀은 조립 시 바텀(B.. 2023.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