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13

몰농도/몰랄농도/퍼센트농도 문제풀이로 완벽이해하기 농도 문제는 고등학교 대학교 또는 자격증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문제 중 하나이다. 몰농도 몰랄농도 퍼센트농도 등 다양한 농도가 존재하기 때문에 개념을 잘 모르면 헷갈릴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3가지를 자유자재로 변환하고 계산하는방법을 이야기하고자한다. 1. 몰농도 몰농도는 용질의 몰수를 용매의 부피로 나눈 값이다. 이때 용질의 몰수 단위는 몰 (mol), 용매의 부피단위인 리터 (L)로 계산한다. 공식으로는 이해하기 헷갈리니 문제를 예시로 풀어보면 이해가 쉽게 될 수 있다. 연습문제 1. NaCl 58.44g을 물1L에 녹여 NaCl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경우 몰농도는 몇 M인가? NaCl 58.44g은 여기서 용질로 사용되었고, 물 1L에 녹여서 사용하였기 때문에 물 1L는 용매의부피가 된다.. 2023. 1. 26.
자주 사용하는 에너지 관련 단위 정리 1J, 1kW, 1kWh, 1HP, 1cal 일상생활을 하면서 에너지는 우리 주변에 항상 존재한다. 겨울철 보일러는 열에너지를 사용해야하고, 전자기기를 사용할 시에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표현되는 에너지의 여러단위들을 이해하자. 1. Joule (J) 1J는 에너지를 나타내는 국제단위계인 SI 단위이다. 1J의 정의는 물체에 1N의 힘을 가했을 때, 1m 이동했을때의 물체에 일을 해준 에너지의 양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바닥에 놓여있는 돌에 3N의 힘을가하여 3m를 이동시킨다면 3N x 3m = 9J 이므로 9J의 일을 돌에 해준 것이된다. 1J(에너지) = 1N(힘) x 1m(이동거리) 2. Watt (W), Watt hour 와트(W)란 1초 동안 소비하는 전력에너지, 즉 전기에너지를 지칭하며 일률이라 표현된다.. 2023. 1. 20.
1Bar, 1atm, 1기압, psi 자주 사용하는 압력 정리 이과를 전공한 학생이면 압력을 접할 기회가 많다. 이상기체방정식에도 자주 등장하며 산업현장의 가스 봄베의 레귤레이터에서도 압력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러단위로 존재하기 때문에 외우고 있지 않으면 혼동하기 쉽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압력을 정리하여 숙지하고자 한다.   1. 정의 압력 (Pressure)의 정의는 단위면적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말그대로 수직으로 누르는 힘이라 생각하면 쉽다. 따라서 (N/m^2)단위로 정의되며 이것을 Pa(파스칼)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이밖에도 여러 단위들을 추가로 알아보자.    2. 압력의 종류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1atm (1기압)에 대해 알아보면, 1기압의 정의는 표준 중력 하에서 0℃에서의 수은주 760㎜가 부여하는 압력. 대기의 압력이라 일컫는다. .. 2023. 1. 5.
나노다공성물질 MOF에 대한 설명 제올라이트, 활성탄등 다공성물질은 고유의 특성을 통해 여러방면에 적용되어왔다. 새로 주목받는 나노다공성물질 MOF(Metal-organic framework)는 설계자가 기공의 크기나 구조를 설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소재이다. 해당 소재의 특징을 알아보자   1. 높은비표면적MOF는 기존 다공성물질로 널리 알려진 제올라이트, 실리카, 활성탄의 비표면적과 비슷하거나 능가하는 다공성물질이다. 1999년 이래로 Omar yaghi 교수가 발표한 이후에도 꾸준히 많은 MOF가 합성되오고 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비표면적의 단위는 (m^2/g)인데, 예를들어 1000m^2/g는 1g 당 1000 제곱미터의 비표면적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2. 구조의 다양성이러한 높은 다공성을 갖는 이유는 구조에 있다.. 2023. 1. 4.
불소계이온교환막 Nafion 구조 및 메커니즘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소재 중 양성자(Proton)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는 이온교환막은 매우 중요한 소재 중 하나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Nafion은 미국의 Dupont사에서 개발한 불소계이온교환막이다. 위 제품의 구조와 메커니즘을 알아보자. 1. 구조 및 장단점 Nafion은 고분자(Polymer)로써 Backbone으로 소수성인 테프론 구조를 가지며 친수성 기능기로 술폰산기 (-SO3H)를 갖고 있다. Backbone의 테프론 구조 때문에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다. 양이온교환막으로 분류되며, 이온교환막의 주된 기능인 양성자 전도도 (Proton conductivity)가 우수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이온교환막이다. 하지만 면적당 150불 정도의 가격이 매우 비싼 단점이 있다. 2. H.. 2023. 1. 3.
인계화합물 종류 : Phosphate, Phosphite, Phosphinate, Phosphonate 비금속원소 인계화합물은 여러 산화수를 구성하는 인의 특성 때문에 Phosphate, Phosphite, Phosphinate, Phosphonate 등 여러 종류의 화합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러 형태의 화합물에 대하여 알아보자. 1. 인계화합물의 종류 인(Phosphorus) 은 비금속원소로 원자번호 15번에 해당하는 원소이다. 분자량은 30.974 g/mol 이며 주기율표의 3주기에 위치해 있다. 핵심 : 인계화합물이 헷갈린다면 결합된 산소형태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쉽다. ★★★ 위 그림을 참고하여 a, b, c, d 순서로 정리를 해보았다. 인(Phosphorus)을 기준으로 산소가 몇 개 결합하였는지, 어떻게 결합했는지에 따라 명명법이 달라진다. (a) 산소 4개 → Phospha.. 2022.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