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차전지&전기차 업계 소식

2025 인터배터리 에코프로그룹 참관후기

by 공대생P 2025. 3. 11.

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오늘은 이차전지 양극재 소재 및 기타 소재까지 도전하고 있는 에코프로 그룹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인터배터리 에코프로

 

1. 양극재 (Cathode)

에코프로 하면 역시 양극재를 떠올릴 수 밖에 없듯이, 이번 인터배터리에서 다양한 양극재 제품 라인업을 소개하였습니다. 해당 양극재들을 하나하나 보도록 하겠습니다.

 

1.1. 하이니켈 양극재

기존 주력 제품인 하이니켈 양극재입니다. 에코프로는 Ni 90% 이상인 고용량 하이니켈 양극재를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기존 하이니켈 양극재의 문제점인 열화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단결정(Single crystal) 기술을 세계 최초로 양산화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사담으로 에코프로의 양극재는 국내 양극재 분야 권위자이신 선양국 교수님의 'Core-shell gradient' 기술을 기반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의 양극재 CSG 기술에 대한 이해

 

에코프로비엠의 양극재 CSG 기술에 대한 이해

안녕하세요. 공대생P 입니다. 최근 주식시장에서 이차전지 관련 기업들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에코프로비엠입니다. 리튬이온배터리에 사용되는 양극재를 제조하는 회사인

sm10053.tistory.com

 

 

1.2. NMX 양극재(고전압 미드니켈)

에코프로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 NMX
에코프로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 NMX

에코프로 역시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에 대한 제품군을 발표했습니다. 인터배터리 트렌드를 보면 기존의 하이니켈의 양극재보다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가 뜨는 추세인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에코프로의 NMX 제품은 니켈 함량이 65~75% 정도이며, 기존의 하이니켈 양극재에 적용되는 세정공정을 제거하여 생산 비용을 최소화 하였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저온에서 코팅하여 용량, 수명, 가스발생 특성을 개선하였다고 이야기하였습니다.

 

 

1.3. LMX 양극재(Mn 리치)

기존 하이니켈 양극재에서 니켈 함량을 줄이고 망간과 리튬의 비율을 높인 Mn-rich 양극재입니다. 해당 소재 또한 전압을 높여 하이니켈 양극재 수준의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1.4. LFP 양극재

에코프로 소재 포트폴리오
에코프로 소재 포트폴리오

중국의 독점을 막기 위한 LFP 라인업 또한 공개되었습니다. LFP 양극재는 제품 라인업만 4가지가 공개되었으며 해당 소재들에 대한 로드맵 까지 발표하였습니다. 

LFP 양극재 소개
LFP 양극재 소개

에코프로가 자랑한 것은 친환경적인 공법을 이용한 LFP 양극재 제조방법이었습니다. 기존의 LFP 양극재는 FePO4 전구체를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하였었습니다. 하지만 에코프로의 LFP 소재는 철, H3PO4(인산)을 원료로 하여 화학반응을 통해 전구체 없이 제작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LFP 라인은 2025년부터 개발중이라고 하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5. SIB 양극재 (Sodium ion battery)

에코프로비엠 SIB양극재
에코프로비엠 SIB양극재

차세대 양극재 중 하나로 나트륨 이온 배터리에 적용되는 양극재도 소개하였습니다. 에코프로의 SIB 양극재는 상용화된 경쟁사 소재 대비하여 성능이 우수하며, 고전압에서 구동이 안정하다고 밝혔습니다. 

나트륨 배터리에 대한 이해와 장점과 단점

 

나트륨 배터리에 대한 이해와 장점과 단점

최근 차세대 배터리 중 하나인 나트륨 배터리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현재 전 세계 배터리 시장점유율 1위를 갖고 있는 CATL이 전기차에 차세대 배터리를 도입한다는

sm10053.tistory.com

 

 

 

2. 음극재

2.1. 음극재 (Si/C) 

에코프로 Si/C 음극재
Si/C 음극재

양극재 이외의 다른 제품들도 전시하였는데, 그 중 눈에 띄는 것은 Si/C 음극재였습니다. 구형의 형상을 갖으며 용량이 약 1800mAh/g으로 흑연의 약 5배이고, 실리콘 소재의 부피를 억제하기 위해 카본소재를 같이 이용하여 제작한 제품으로 유추됩니다. 또한 실리콘 음극의 단점인 초기효율(ICE)가 높은 것을 장점으로 내세웠습니다. 아쉬운 점은 구체적인 수치는 보지 못한 부분이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2. Li-metal 음극

차세대 음극 라인으로 리튬메탈음극 사업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사실 리튬 메탈을 음극으로 사용하면,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적용하기 굉장히 어려운 소재입니다. 하지만 에코프로는 미래 전고체 배터리를 예견하여 리튬메탈음극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하였습니다. 해당 사업은 에코프로 그룹의 이노베이션에서 2025년부터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3. 전구체 (Precursor)

에코프로 전구체
에코프로 전구체

양극재를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되는 전구체 물질입니다. 2차전지 양극재 시장의 밸류체인을 다 관여하겠다는 에코프로의 의지가 보였습니다. 제품군으로 NCA 양극재용 전구체, NCM811 양극재용 전구체, NCM9반반용 전구체 라인업을 보여주었으며, 니켈이 양극재 중심부에 위치하여 니켈이온의 용출을 막는 Core-shell gradient 기술 기반의 전구체 제품을 자랑하였습니다.

 

 

 

4. 기타소재 

4.1. 리튬화합물

에코프로 리튬화합물
에코프로 리튬화합물

기타 소재로 원료 중 하나인 리튬화합물 사업 확대도 보여주었습니다. 기존의 양극재 및 전해액 소재들은 Li 을 포함하고 있는 형태로 존재합니다. 그 원료가 되는 LiOH, Li2CO3, Li2S 등을 리사이클링을 통해 제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4.2. Dopant & 전해액 첨가제

에코프로 기타소재 (Dopant & 전해액 첨가제)
에코프로 기타소재 (Dopant & 전해액 첨가제)

양극활물질에 들어가는 특수 도핑, 코팅 금속들과 그게 이어 전해액 소재인 리튬염, 전해액 첨가제 사업까지 확장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전해액 첨가제의 종류로는 LiPO2F2, LiFSI, LiBOB등의 Li-salt계열 뿐만 아니라 유기 전해액 첨가제인 VC, FEC, PS 등을 소개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인터배터리에서 에코프로 그룹이 소개한 내용을 리뷰하였습니다. 기존의 양극재를 주력으로 하였던 사업을 확장하여, 양극재 제조에 들어가는 전반적인 원료들의 사업까지 확장하고 추가적으로 기타 전해액, 음극 소재까지 발을 넓히는 행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위 에코프로 내년을 바탕으로 내년 2026년 인터배터리 내용도 비교해 보면 재밌는 관전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2차전지 분야 취업 컨설팅 안내

 

2차전지 분야 취업 컨설팅 안내

안녕하세요. 블로그 운영자 공대생P입니다. 저는 국내 2차전지 소재회사에서 근무하는 현직자로서, 그동안 배터리 산업과 관련된 기술, 시장, 동향 정보를 블로그를 통해 공유해 왔습니다.  현

sm10053.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