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차전지&전기차 업계 소식

2025 인터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 참관후기 (feat : 차세대배터리 부자)

by 공대생P 2025. 3. 5.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인터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 참관후기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배터리 3사는 코엑스 3F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LGES 부스
LGES 부스

국내 1티어 업체답게 인터배터리 전시회에서 가장 큰 규모의 부스를 차지하고 있고, 주변에 국내 대기업 부스들이 위치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삼성SDI 부스와 매우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1. ESS (JF2 AC LINK)

LGES 역시 ESS 배터리로 LFP소재를 채택하였습니다. 이것은 삼성SDI도 마찬가지였는데요. LFP 소재의 가격이 싸고 수명측면, 안전성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안전하기 때문에 ESS에 LFP를 적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LGES ESS

LG에너지솔루션은 제품 명을 'JF2 AC LINK'라고 명명하였습니다. 해당 제품의 주요 기술에 대해 크게 3가지를 보여주었습니다.

Self Aux Power System : 별도의 케이블, 변압기 설치가 필요 없음

Cold Commissioning : 사전 시운전을 통해, 전체 커미셔닝 시간을 줄임

Active Rack Balancing : 랙 간의 SOC(State of charge) 편차 최소화를 위해 충/방전을 자동으로 Balancing

 

여기에 사용된 배터리는 LFP 배터리이며 해당 셀(JF2 Cell)은 600 x 124 x 18의 치수를 갖기에 Long LFP로 불리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중국의 CATL의 Blade 배터리가 떠올랐습니다.

 

 

 

2.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 / LFP(Cell To Pack) / 건식전극

2.1.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 또한 삼성SDI와 마찬가지로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배터리 회사들의 방향이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기존 하이니켈 양극재의 원가가 비싸기 때문에 미드니켈로 가면서 전압을 올려 에너지밀도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가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은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에 대해 2가지 차별화된 기술을 보여주었습니다.

[1]. 혁신적인 양극재 제조 공정 : 전구체 Free 공정으로 제조 원가 절감 

-> 기존의 양극재는 전구체라는 물질에 리튬 source를 고온에 반응시켜 제조하였으나 해당 제조공정을 없애는 친환경 공법을 도입하였습니다. 

[2]. 고전압 구현 최적화 소재 설계 : 양극재 (단결정, 코팅, 도핑), 전해액 (고전압 내구성 전해액 적용)

-> 양극재 입자를 단결정으로 제조하고, 양극재 표면 및 배열에 특수 물질 코팅 및 도핑을 통해 고전압용 양극재 제조

-> 기존 전해액이 4.2V 이상 분해됐으나, 이를 견딜 수 있는 전해액 조성, 물질 개발 최적화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성능중심제품(Q-Line), 가격경쟁중심(C-Line) 2가지로 나뉘어 제품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고전압 미드니켈에 대한 이해 (LFP의 대항마)

 

고전압 미드니켈에 대한 이해 (LFP의 대항마)

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전압 미드니켈' 기술에 대한 이해와 왜 이 기술을 적용하려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현재 배터리 시장 상황

sm10053.tistory.com

 

 

2.2. LFP Pouch cell (Cell-to-Pack)

LFP cell to pack
LFP Cell to pack

다음은 Cell to pack 기술의 소개입니다. 기존의 LIB 배터리는 Cell - Module - Pack 순서의 단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ell to pack 기술은 Module을 제거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공간을 확보하여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한 기술입니다. 해당 기술을 LFP 파우치 배터리에 적용한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2.3 건식전극(Dry electrode)

건식전극
건식전극

일론머스크가 이전에 발표하여 화제가 되었던 건식전극 또한 보여주었습니다. 기존의 nmp 용매 기반 슬러리를 녹여 극판에 코팅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방식이 습식방식인 반면,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건조공정을 제거한 공정인 건식공정에 대해 보여주었습니다. 

건식전극(Dry electrode)의 제조 공정과 장점

 

건식전극(Dry electrode)의 제조 공정과 장점

2020년 배터리 데이에서 일론 머스크는 기존 습식공정으로 제작되는 전극과 다르게,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제조방법인 건식전극 (Dry electrode)을 소개하였다. 또한 기업 입장에서 원가

sm10053.tistory.com

 

 

 

3. 차세대 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다양한 차세대 배터리를 개발하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배터리 3사 중 가장 많은 차세대 배터리를 보여주었습니다.

 

3.1. 바이폴라배터리

바이폴라배터리
바이폴라배터리

바이폴라배터리는 셀 내 직렬연결을 통해 고전압 시스템이 구현 가능한 배터리이며, 이를 통해서 팩 단위에서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부품수를 줄여 더 높은 에너지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라고 합니다. 회사 측에서는 타겟 Application으로 전기차 및 향후 휴머노이드 및 wearable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장점으로는 셀의 상하 넓은 면을 리드로 활용하여 저항 및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적응 수량의 셀로 고전압 구현이 가능하여 셀 간 용접이 불필요합니다.

 

 

3.2. 소듐이온배터리

소듐이온배터리
소듐이온배터리

소듐이온배터리는 에너지를 저장/방출하는 기존의 리튬이온을 사용한 것을 소듐(Na)으로 대체한 것을 의미합니다. 해당 배터리의 장점으로는 소듐이 지구상에 풍부하므로 원재료 비용이 낮춰질 수 있고, 공급안정성 확보가 가능합니다. 리튬이온배터리 대비하여 열적안정성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공정적인 측면에서 기존 LIB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 투자 비용이 저렴합니다.

 

특이한 점으로는 기존 LIB대비 소재가 변화는 특징이 있습니다. 음극 집전체가 Cu -> Al 변화되며, 음극은 기존의 흑연에서 하드카본으로 변화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Application : 소형 Mobility, ESS, 전기차 

 

 

3.3.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황화물계 전고체배터리
황화물계전고체배터리

다음은 전고체 배터리입니다. 액체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한 배터리이며, 전해액이 고체이기 때문에 열폭주 제어 및 안전성이 강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무음극(Anode-less)을 적용하여 고에너지 밀도가 적용 가능합니다. 

Application : 고성능 프리미엄 전기차 

 

 

3.4. 리튬황배터리

리튬황배터리
리튬황배터리

리튬황배터리는 배터리 3사 중 유일하게 LGES가 오랫동안 연구/개발했던 배터리입니다. 무게당 에너지밀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며, 황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싸고 가벼워 항공분야에 각광을 받고 있는 배터리입니다. 기존 LIB 대비 무게당 에너지밀도가 1.5-2배 이상 높습니다.

Application : 고고도 무인기, 미래항공모빌리티

LGES 배터리가 탑재된 포르쉐 타이칸
LGES 배터리가 탑재된 포르쉐 타이칸

국내 탑티어 배터리 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의 인터배터리 전시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삼성SDI와 큰차이점은 없었으나, 차세대배터리 라인에 있어서 리튬황배터리에 대한 연구개발, 양극재 고전압 미드니켈의 전구체-Free를 적용한다는 것이 인상깊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2차전지 분야 취업 컨설팅 안내

 

2차전지 분야 취업 컨설팅 안내

안녕하세요. 블로그 운영자 공대생P입니다. 저는 국내 2차전지 소재회사에서 근무하는 현직자로서, 그동안 배터리 산업과 관련된 기술, 시장, 동향 정보를 블로그를 통해 공유해 왔습니다.  현

sm10053.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