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제조사에 대한 정보를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 배터리 제조사 확인의 필요성
최근 인천 청라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벤츠 전기차의 화재로 인해 주차되어 있던 140여 대의 차량이 피해를 입었으며 전소된 차량만 72대라는 비극을 낳았습니다. 화재 원인이 배터리와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배터리 제조사 확인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desk/article/6624558_36515.html
피해 금액만 100억원?‥보상 책임은 누가?
이번 인천 청라 전기차 화재로 지하주차장에 있던 다른 차들 손해를 비롯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는데요. 과연 누가, 얼마나 보상을 해야 할까요. 박철현 기자가 취재했습니...
imnews.imbc.com
전소된 차량 및 피해 대수가 상당히 많으므로 매우 큰 금액이 피해본 것으로 추측됩니다. 화재 원인인 벤츠 전기차는 중국의 '파라시스 에너지' 차량이었고 이에 따른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 국내 전기차 배터리 브랜드 소개
2.1 현대자동차
먼저 국내 점유율 1위 현대자동차 입니다. 해당 자료는 현대자동차 홈페이지를 기반으로 제작하였습니다. 배터리 종류는 국내 3사는 NCM기반, CATL은 LFP로 추정하여 자료를 작성하였습니다.
차종 | 제조사(셀) | 배터리 종류 |
아이오닉5(NE) | SK ON | NCM |
아이오닉5(NE PE) | ||
아이오닉5(NE N) | ||
아이오닉6CE | SK ON (22.7~22.12) | |
SK ON, LGES (23.1~23.5) | ||
LGES (23.6~) | ||
GV60 (JW) | SK ON | |
G80 (RG3 EV) | ||
GV70 (JK EV) | ||
코나 (SX2 EV) | CATL | LFP |
ST1 (TSD-A01) | SK ON | NCM |
캐스퍼 (AX EV) | LGES | |
코나 (OS EV) | SK ON, LGES | |
아이오닉 (AE EV PE) | LGES | |
아이오닉 (AE EV) | LGES | |
포터 (HR EV) | SK ON, LGES | |
카운티 일렉트릭 (CS EV) | SK ON | |
일렉시티 타운 (GY EV) | ||
일렉시티 (CY) | LGES | |
일렉시티 PE (CY PE) | SK ON |
특이한 점은 아이오닉6CE 모델의 경우 SK ON이 초기에 사용되었다가 LGES 배터리로 교체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코나 SX2 EV 모델이 CATL의 LFP 배터리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국내 자동차 회사 또한 중국의 LFP 배터리도 고려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2 기아자동차
기아자동차 또한 공식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국내 전기차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EV시리즈 배터리에는 3원계 배터리가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니로 EV, 레이 EV에 LFP 배터리를 도입하기도 하였습니다.
차종 | 제조사(셀) | 배터리 종류 |
레이 EV (11.12~17.12) | SK ON | NCM |
레이 EV (23.4~) | CATL | LFP |
니로 EV (18.7~21.12) | SK ON, LGES | NCM |
니로 EV (22.6~) | CATL | LFP |
니로 플러스 | SK ON | NCM |
EV3 | LGES | |
EV6 | SK ON | |
EV6 GT | ||
EV9 | ||
봉고 Ⅲ EV | SK ON, LGES | |
쏘울 EV (14.1~18.9) | SK ON | |
쏘울 EV (19.2~20.11) | SK ON, LGES |
2.3 KGM모빌리티
마지막으로 KGM 모빌리티 입니다. 규모는 상대적으로 적은 국내 브랜드이지만, 최근 토레스 EVX 발표 등 전기차 쪽으로 진출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KGM 모빌리티는 현재 토레스 EVX에 중국의 BYD LFP 배터리를 채택하였음을 발표하였습니다.
차종 | 제조사(셀) | 배터리 종류 |
토레스 EVX | BYD | LFP |
3. 결론
청라의 벤츠 전기차 화재는 중국의 파라시스 배터리이며 NCM 타입의 배터리로 알려졌습니다. 상대적으로 LFP 배터리가 안전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런 사고로 인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NCM배터리에 대한 안 좋은 인식을 갖는 것이 걱정입니다. NCM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다른 기술적인 도약을 통해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한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기술 혁신을 통해 안전하고 성능이 우수한 전기차들의 생산을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차전지&전기차 업계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에너지솔루션 & 스페이스X 배터리 공급과 향후 전망 (7) | 2024.11.13 |
---|---|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정리 (테슬라, 벤츠, BMW, 폭스바겐, 아우디등) (2) | 2024.11.11 |
리튬일차전지에 대한 이해 (리튬 염화티오닐 전지-Li/SOCl2) (2) | 2024.06.24 |
엘앤에프(L&F) 2024년 31만톤 규모 공장설립 (0) | 2023.11.30 |
이녹스리튬 - 삼성SDI와 초대형규모 수산화리튬 계약 체결 (2) | 2023.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