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식전극2

건식전극에서 PVDF가 아닌 PTFE 바인더를 사용하는 이유 테슬라 배터리데이에서 소개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건식전극기술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이다.건식전극기술을 사용하면 기존 습식공정의 PVDF 바인더에서 PTFE 바인더를 사용하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1. 기존 습식공정바인더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기존의 습식공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양극바인더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로 잘 알려져 있다. PVDF는 불소계 고분자로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배터리에서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전기화학적 안정성이란 보통 리튬이온배터리가 3~5V의 전압에서 구동되는데, 이 전압에서 안정하여 분해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압구간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양극.. 2023. 1. 6.
건식전극(Dry electrode)의 제조 공정과 장점 2020년 배터리 데이에서 일론 머스크는 기존 습식공정으로 제작되는 전극과 다르게,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제조방법인 건식전극 (Dry electrode)을 소개하였다. 또한 기업 입장에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그렇다면 기존의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습식공정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아보자. 기존 습식공정은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를 이용해 슬러리를 제조할 때, NMP라는 유기 용매를 사용한다. NMP는 전극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들(활물질, 도전재, 바인더)이 잘 분산되고 섞이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섞인 슬러리는 극판에 Coating 공정을 지난 후 Drying 공정을 지나게 된다. Drying 공정을 거치는 이유는 분산 용매로 사용된 NMP를 제거하기 위해서이.. 2022.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