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6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수분(H2O)이 미치는 영향 반도체 공정이나 기타 정밀화학 소재에서 수분을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정밀화학소재같은 경우는 순도가 매우 중요한데, 물이 존재할 경우 부반응을 일으켜 품질을 저하하기 때문이다. 이는 배터리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튬이온배터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자. 1. 물=수분 (H2O)의 이해 물은 수소원자 2개와 산소원자 1개로 구성되어 있고, 공유결합 형태를 이루는 화합물이다. 자연계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냄새가 나지 않는 화합물이다. 전기적으로 한쪽 극으로 편중된 극성을 띄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물분자끼리 수소결합을 이루어 강한 인력을 지닌다. 이러한 강한인력에 의해 100도의 높은 끓는점을 갖는다. 또한 지구 자연계를 대부분 이루고 우리 인간은 대부분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 2023. 2. 12. 1류 위험물에 대한 이해 (특징, 종류, 지정수량, 취급방법) 위험물은 1~6류까지 성질과 종류에 따라 총 6가지의 종류로 구분지을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중 첫번째인 할로겐산염류와 전이금속이 산소와 결합되고, 산화성고체 성질을 갖는 1류화합물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1. 특징 1류 위험물은 색이없는 결정형태이거나 가루(powder)형태로 존재하는 화합물이다. 불에 잘 타지 않는 불연성 성질을 갖고 있다. 분자 구조 내에 산소(Oxygen)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화합물 구조 내 산소를 갖고 있기 때문에 타 화합물간 반응할 경우 분해되면서 산소를 방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산소를 방출하기 때문에 화재상황에서 연소 반응에 도움을 주어 인명 피해를 입히게 된다. 2. 종류 및 지정수량 위험등급 :Ⅰ-지정수량 50kg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과염.. 2023. 2. 8. 몰농도/몰랄농도/퍼센트농도 문제풀이로 완벽이해하기 농도 문제는 고등학교 대학교 또는 자격증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문제 중 하나이다. 몰농도 몰랄농도 퍼센트농도 등 다양한 농도가 존재하기 때문에 개념을 잘 모르면 헷갈릴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3가지를 자유자재로 변환하고 계산하는방법을 이야기하고자한다. 1. 몰농도 몰농도는 용질의 몰수를 용매의 부피로 나눈 값이다. 이때 용질의 몰수 단위는 몰 (mol), 용매의 부피단위인 리터 (L)로 계산한다. 공식으로는 이해하기 헷갈리니 문제를 예시로 풀어보면 이해가 쉽게 될 수 있다. 연습문제 1. NaCl 58.44g을 물1L에 녹여 NaCl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경우 몰농도는 몇 M인가? NaCl 58.44g은 여기서 용질로 사용되었고, 물 1L에 녹여서 사용하였기 때문에 물 1L는 용매의부피가 된다.. 2023. 1. 26. LG에너지솔루션의 차세대배터리 리튬황전지에 대한 이해 국내 최대 LG에너지솔루션은 2020년 국내 최초로 리튬황전지를 탑재한 무인비행기를 약 13시간 동안 비행에 성공하였다. 해당 무인기는 성층권에서 운행되었기 때문에 영하 70도의 악조건에서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가동되었기에 많은 주목을 받았다. 1. 전지소개 및 작동원리 리튬황전지는 리튬이온전지와는 다르게 양극에는 Li2S를 사용하고 음극으로 리튬메탈을 사용한다. 또한 카보네이트계열 전해액을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와 다르게 에테르계열의 전해액을 사용한다. 이는 충방전과정에서 생성되는 폴리설파이드가 카보네이트계열 유기용매와 반응성이 높기 때문이다. 양극 : Li2S (리튬설퍼) 음극 : Li (리튬메탈) 전해액 : Dimethyl ether (DME), 1,3-Dioxolane (DOL) 에테르계열 충전과정(.. 2023. 1. 21. 리튬이온배터리 도전재 : CNT(탄소나노튜브)에 대한 이해 배터리에서 전극은 용량은 담당하는 활물질, 극판밀착력을 유지시켜주는 고분자바인더, 그리고 전도성을 증대시켜주는 도전재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 카본블랙(Carbon black)보다 더 우수한 전도성을 갖는 CNT(탄소나노튜브)에 대해 알아보자. 1. 개요 : CNT(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튜브 CNT라 불리는 물질은 일본의 이지마 연구원이 탄소계열 소재인 Fullerene을 연구하다가 전자현미강에서 우연히 발견하여 등장하게 되었다. 이름 그대로 탄소가 그물형태의 튜브모양을 하고 있는 소재이다. 탄소소재가 겹겹으로 층상구조로 되어 있을 경우, 흑연(Graphite)이고 흑연의 단일층을 그래핀(Graphene)이라 하는데, 이 그래핀인 탄소단일층이 둥글게 말려 있는 것이다. 탄소나노튜브는 형상에 따라 크게 2가.. 2023. 1. 21. 자주 사용하는 에너지 관련 단위 정리 1J, 1kW, 1kWh, 1HP, 1cal 일상생활을 하면서 에너지는 우리 주변에 항상 존재한다. 겨울철 보일러는 열에너지를 사용해야하고, 전자기기를 사용할 시에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표현되는 에너지의 여러단위들을 이해하자. 1. Joule (J) 1J는 에너지를 나타내는 국제단위계인 SI 단위이다. 1J의 정의는 물체에 1N의 힘을 가했을 때, 1m 이동했을때의 물체에 일을 해준 에너지의 양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바닥에 놓여있는 돌에 3N의 힘을가하여 3m를 이동시킨다면 3N x 3m = 9J 이므로 9J의 일을 돌에 해준 것이된다. 1J(에너지) = 1N(힘) x 1m(이동거리) 2. Watt (W), Watt hour 와트(W)란 1초 동안 소비하는 전력에너지, 즉 전기에너지를 지칭하며 일률이라 표현된다.. 2023. 1. 20. 리튬이온배터리 LSV(Linear sweep voltammetry) 그래프 해석 Linear sweep voltammetry 분석은 리튬이온배터리의 소재 평가에 적용되는 분석방법이다. 전해질, 바인더등 다양한 소재들에 적용될 수 있고, 분석방법이 매우 간단하기에 자주 사용되어왔다. 분석 원리와 그래프를 해석 방법을 알아보자. 1. LSV 개념 및 분석원리 LSV는 Linear sweep voltammetry의 약어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선형주사전위법이다. 의미를 풀이하면 전위, 즉 전압을 선형(한방향)인 양/음의 방향으로 주사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주사하는 전위의 속도는 일정한 속도로 주사된다. 비슷한 평가 방법으로 CV(Cyclic voltammetry)가 존재하는데 CV는 전위가 사이클로 반복되었을때 산화-환원에 대한 전류의 정도를 보는 것이지만, LSV는 전위를 한방향으로 흘러주.. 2023. 1. 16. 건식전극에서 PVDF가 아닌 PTFE 바인더를 사용하는 이유 테슬라 배터리데이에서 소개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건식전극기술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이다.건식전극기술을 사용하면 기존 습식공정의 PVDF 바인더에서 PTFE 바인더를 사용하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1. 기존 습식공정바인더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기존의 습식공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양극바인더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로 잘 알려져 있다. PVDF는 불소계 고분자로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배터리에서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전기화학적 안정성이란 보통 리튬이온배터리가 3~5V의 전압에서 구동되는데, 이 전압에서 안정하여 분해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압구간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양극.. 2023. 1. 6.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