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6 화공기사 단증류실험 실험기구 정리 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화공기사 실기 시험 중 작업형은 단증류 실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험생들은 실험을 직접 해볼 기회가 없기 때문에 사용하는 실험기구들을 시험장에서 바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구들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실험기구 리스트 정리 화공기사 단증류 실험은 에탄올과 물이 섞여있는 에탄올 수용액을 증류하여 순수 에탄올만 얻어내는 실험입니다. 다음 표에 사용되는 실험기구 및 소모품 리스트를 표에 정리하여 나타내었습니다. 단증류 실험은 위 사진과 같이 여러 시험 기구들을 사용하여 구성되야 합니다. 실험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에탄올 수용액 혼합물을 둥근플라스크에 보관하여 열(70~80도)을 가하여 기화시킵니다. 물보다 상대적으로 끓는점이 낮은 에탄올이 기화하여 .. 2023. 2. 26. 개정 화공기사 2022년 시험합격률 (필기, 실기) 화공기사 시험이 2022년 이후로 개정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하기 때문에 바뀐 작년 시험의 합격률이 낮을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글에서는 시험 응시자, 합격자수등 시험결과에 대한 자료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필기합격률 화공기사 시험은 2022년에 개정되었으며 기존 시험과 크게 변경되진 않았지만 응시과목이 5과목에서 4과목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기존5과목에서 4과목의 과락점수(40점)만 넘으면 되기에 상대적으로 많은 응시자가 합격할거라 예상되지만 시험범위가 증가한 변경점이 있습니다. 응시 합격자수 합격률(%) 합격자평균 전체평균 1회 1449 423 29.19 67.96 52.88 2회 1810 526 41.03 64.9 56.34 3회 1446 287 19.85 56.1.. 2023. 2. 24. 기사시험 사용가능한 공학용계산기 정리 (카시오, 샤프, 캐논, 유니원) 기사시험은 복잡한 계산식이 많기 때문에 공학용계산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시험에 응시를 할 수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계산기를 정리하고 다루겠습니다. 1. 기사시험에서 계산기를 한정하는 이유산업기사, 기사등 이공계 관련한 국가자격시험의 출제문제에는 복잡한 계산이 많이 필요합니다. 또한 여러 공식, 단위들의 변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들 또한 시간소요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시간내에 펜을 사용하여 문제를 풀기에는 평가과목들을 치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산업인력공단은 공식이 저장되지 않는 계산기능만을 포함한 공학용계산기 사용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 2023. 2. 23. 화공기사 비전공자 독학 공부방법 (응시자격, 과목별 공부방법, 준비기간) 화공기사 자격증은 국가기술자격증으로 보통 화학관련 전공을 공부한 학생들이 준비하는 자격증입니다. 대학교 4년의 공부 내용을 담고 있어 비전공자가 취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전공자가 공부할 경우 합격률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1. 자격요건확인 먼저 화공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전에 시험을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격요건을 확인하지 않고 공부하여 시험에 응시할 경우, 응시를 할 수 없는 상황이 일어나면 그동안 쏟아부은 시간이 낭비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응시전에 본인이 응시자격이 충분한지 확인해야합니다. 아래 링크는 개정된 화공기사 시험에 대한 자격요건이 나와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화공기사 시험 개정 알아보기(응시자격, 필기, 실기) .. 2023. 2. 21. 화공기사 시험 개정 알아보기(응시자격, 필기, 실기) 대학에서 화학관련 전공을 한 학생이라면 화학 관련 국가기술자격증을 조사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화공기사 자격증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화학관련 국가기술자격증 중 하나이며 최근 2022년 들어 이전과 다르게 시험이 개정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정된 시험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응시자격요건 화공기사 시험의 응시자격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응시자격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표에 나와 있는 화공기사 관련학과는 공업화학, 화공과, 화학과등 '화학'이 들어가 있는 학과는 자격이 가능합니다. 화공기사 응시자격요건 1. 4년제 대학 관련학과 졸업 or 졸업예정자 (4학년1학기 이상) 2. 3년제 대학 졸업자이며 유사 실무 경험을 1년이상 보유한자 3. 2년제 대학 졸업자이며 유사 실무 경험.. 2023. 2. 20. 리튬이온배터리 4대공정 두번째 :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조립공정 리튬이온배터리 조립공정은 기술적 비용적 측면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공정 중 하나이다. 오래 알려진 원통형 배터리부터 각형, 파우치형까지 어떤 조립공정을 택하냐에 따라 제조단가와 에너지밀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각의 배터리 형태에 따른 조립공정을 알아보자. 1. 원통형 배터리 (Cylinder Battery) 원통형 배터리는 가장 오래된 제작 방법이고, 제조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원통형배터리의 제조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아래 그림은 출처논문에서 발췌한 제작과정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작은 원기둥 형태의 Core cylinder에 음극-분리막-양극을 포개어 넣고 둥글게 말아서 원기둥 형태로 제작한다. 이때 말려있는 형태를 Jelly roll이라고 부른다. 위 그림과 같이 완성된 J.. 2023. 2. 15. 리튬이온배터리 4대 공정 첫번째 : 전극공정 리튬이온배터리는 조립품목으로 반도체와 같이 여러 다양한 공정을 통해 조립되고 있다. 크게 전극공정, 조립공정, 활성화공정, 팩 공정 총 4가지로 알려져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양극과 음극전극을 제조하는 공정의 세부 공정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전극공정은 리튬이온배터리를 구성하는 핵심소재인 양극과 음극에 관련되어 있는 공정이다. 집전체에 전극을 균일하게 코팅하는 것이 핵심이다. 균일하게 코팅되어 있지 않으면 셀간 편차가 발생하고 부반응이 일어나기 쉽다. 1. 혼합공정 (Mixing process)혼합공정은 전극을 구성하는 재료들을 섞어주는 공정을 뜻한다. 고속의 믹서를 사용하여 재료들을 섞어준다. 양극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3가지의 재료가 들어간다. 용량과 관계있는 활물질(Active materia.. 2023. 2. 14. 리튬에어배터리(Li-air)의 구성요소, 작동원리, 충방전 그래프 설명 리튬에어배터리는 기존의 리튬이온배터리보다 10배 이상 높은 에너지밀도(약 3500 Wh/kg)를 보유하고 있는 고용량 차세대배터리이다. 충전과 방전이 연속적으로 가능한 2차전지이며, 공기(air)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1. 구성요소 리튬에어배터리는 어느 전지들 처럼 양극과 음극이 존재하는 배터리이다. 양극으로는 대게 다공성탄소(Porous carbon)을 사용하고, 음극으로는 리튬금속(Li-metal)을 사용한다. 특이한 점은 전해액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분리막의 유무가 달라지는 특징이 있다. 전해액은 총 4가지인 비수계(Aprotic)/수계(Aqueous)/고체전해질(Solid state)/혼합(Mixed aqueous+aprotic.. 2023. 2. 13.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