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6

엘앤에프 노스볼트에 양극재 공급체결임박 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국내 양극재 소재 업체인 엘앤에프에서 유럽 배터리 업체인 노스볼트에 계약을 체결이 임박했다는 소식입니다. 1. 기사원문 및 요약 아래 기사는 한국경제신문에서 발췌한 기사입니다. 국내 양극재 시장의 선두권을 달리고 있는 업체는 크게 에코프로비엠, LG화학, 엘앤에프 등이 있습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02395101 엘앤에프, 유럽 배터리社에 20兆 규모 양극재 공급한다 엘앤에프, 유럽 배터리社에 20兆 규모 양극재 공급한다, 노스볼트와 2025년부터 5년간 엘앤에프 수주 중 역대 최대 K배터리에 편중된 고객 다각화 www.hankyung.com 그 중 엘앤에프가 스웨덴 배터리 업체인 노스볼트에 5년간 20조원 규모의 양급재 공급.. 2023. 10. 23.
LG에너지솔루션 도요타에 배터리 공급 안녕하세요. 공대생P 입니다. 이번 소식은 국내 최대 배터리 기업 LG에너지솔루션에 관련된 소식입니다. 글로벌 최대 자동차 회사인 일본의 도요타와 계약을 성사했다는 소식입니다. 1.기사원문 및 요약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3367 LG엔솔, 日도요타에 배터리 공급 성사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LG에너지솔루션이 일본 완성차 기업인 일본 도요타에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에 성공했다. 다른 일본 기업인 혼다를 포함해 제너럴모터스(GM), 현대자동차그룹, 스텔란티스 등 미국 상위 5개 고객 www.thelec.kr 이 계약을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은 도요타, 혼다, 제너럴모터스(GM), 현대, 스텔란티스 등 주요 자동차 업체에 배터리를 공급.. 2023. 10. 16.
삼성SDI-스텔란티스 합작사 증설 안녕하세요. 공대생P 입니다. 이번 소식은 국내 배터리 3사 중 하나인 삼성SDI가 고객사인 스텔란티스 자동차회사와 세운 합작사에 추가적인 투자를 진행한다는 소식입니다. 1. 기사원문 및 요약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3287 삼성SDI, 스텔란티스 배터리 합작사 2공장에 2.6조 투자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삼성SDI가 스텔란티스와의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에 추가 투자를 진행한다.삼성SDI는 27일 이사회를 열고 스타플러스에너지의 2공장 건설에 2조6556억원을 투자하는 방안을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www.thelec.kr 삼성SDI는 스텔란티스와 이전에 합작사를 세워 협력하는 관계로 알려져 왔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9월 27일 .. 2023. 10. 13.
LG화학 에코프로 엘앤에프가 주목하는 양극재 단결정 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최근 에너지밀도를 결정짓는 양극 소재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차세대 전극 소재의 기술이라 불리우는 양극재 단결정(Single crystal) 기술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1. 단결정 양극재란? 최근 양극재 회사들이 앞다투어 개발하는 기술 중 하나는 단결정 양극재 입니다. 아래 기사는 전자신문 디일렉의 기사입니다. 최근 LG화학이 하아니켈단결정양극재 양산에 성공했다는 기사 입니다. LG화학 뿐만 아니라, 양극재 주요 회사인 에코프로그룹, 엘앤에프, 유미코아 등 많은 회사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왜 이 기술을 기업들이 앞다투어 개발하려고 하는 것인지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다결정의 단점(Polycrystalline) 아래 그림은 해당 두.. 2023. 9. 21.
나트륨 배터리에 대한 이해와 장점과 단점 최근 차세대 배터리 중 하나인 나트륨 배터리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현재 전 세계 배터리 시장점유율 1위를 갖고 있는 CATL이 전기차에 차세대 배터리를 도입한다는 소식 때문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존의 리튬이온을 대체한 배터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Intro 아래 그림은 2023년 4월 16일 배터리 점유율 1위 업체 중국의 CATL의 홈페이지에 게시된 사진입니다. 해당 내용은 중국 내 자동차 회사인 'CHERY' 사의 전기차에 최초로 나트륨 배터리 (Sodium-ion Battery)를 적용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해당 내용 공개로 인해 많은 주목을 받았는데요. 그렇다면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배터리와 달리 나트륨 배터리는 어떤 배터리인지 알아보겠습니다. 2. 나트륨.. 2023. 6. 12.
코인셀 평가의 단점 : 파우치셀 평가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공대생P입니다. 배터리소재 관련 업체에 종사하시는 분들이면 코인셀 실험을 필수적으로 해본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이번 글은 현업에서 근무하면서 느낀 코인셀 평가의 단점과 그 원인들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1. 단점 코인셀 평가의 가장 큰 문제점은 데이터의 신뢰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 단점입니다. 특정 소재를 사용하여 완전 셀(Full cell)을 제작하여 충방전 평가를 할 경우 전지 용량에 대한 산포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습니다. 더 나아가서 소재를 직접제작(양극코팅, 음극코팅, 분리막 제막)하여 코인셀을 조립하는 경우 산포가 더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2. 원인 2.1. 코인셀 부품 (Parts) 첫 번째로 제가 생각하는 원인은 코인셀 부품 입니다. 코인셀은 조립 시 바텀(B.. 2023. 5. 30.
에코프로비엠의 양극재 CSG 기술에 대한 이해 안녕하세요. 공대생P 입니다. 최근 주식시장에서 이차전지 관련 기업들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에코프로비엠입니다. 리튬이온배터리에 사용되는 양극재를 제조하는 회사인데요. 핵심 기술인 CSG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1. 양극재란?배터리의 두 전극 중 상대적으로 높은 전위(V)를 갖는 전극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극을 양극(+), 반대로 낮은 전극을 음극(-)으로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리튬이온배터리의 양극재는 전이금속인 니켈(Ni), 코발트(Co), 망간(Mn), 철(Fe)과 기타화합물인 인산(FeO4)의 산화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한 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리튬이온배터리 NCM 양극재(Cathode)에 대한 .. 2023. 5. 11.
폐배터리 리사이클(recycling) 공정에 대한 이해 안녕하세요. 공대생P 입니다. 최근 배터리 대량생산에 따라 배터리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폐배터리 리사이클 공정에 대하여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폐배터리란? 공장에서 생산되어 장시간 동안 사용하여 배터리로써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배터리를 의미합니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사용자가 사용할수록 용량이 감소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 시, 처음에 사용하였던 용량만큼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전기차 보급에 따라 현재 배터리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사용하는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여 이것을 어떻게 처리하는 것인데요. 2025년 기준 연간발생량은 약 3만 개이며, 2030년 기준으로는 10만 개가 될 전망이라고 합.. 2023.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