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6 전기차 원통형배터리의 이해 (구조, 장점, 단점) 원통형배터리는 우리가 일상에서 편하게 접할 수 있는 배터리이다. 보통 마트에서 주로 판매하는 AA나 AAA의 소형배터리를 주로 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전기차개발이 가속화되면서 보다 큰 사이즈의 원통형배터리가 개발되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차 선두주자 테슬라가 선택한 원통형배터리의 구조 및 원리를 알아보고 이해하고자 한다. 1.구조 및 종류 아래 그림은 원통형배터리의 구조를 나타낸다. 대표적으로 테슬라가 원통형배터리를 주력으로 사용하고있다. 다음과같이 익숙한 구조로 되어있으며 극판을 둥글게 말아서 생산된다. 가장 고전적이고 오래된 방법이다. 양극-음극-분리막이 스택으로 되어있고, 돌돌말려서 외장재 캔에 덮여저 있는 구조이다. 양극과 음극의 탭은 각각 반대방향으로 나와 우리가 생각하는 건전지처럼 단자.. 2022. 12. 13. 이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대장주 : 천보 (세계최초 LiFSI 양산기업) 기업리뷰로 전해액 관련 기업을 소개하려 한다. 천보는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으며, 이차전지 전해액에 들어가는 첨가제를 생산하는 회사이다. 또한 세계 최초로 차세대 전해질 염으로 불리는 LiFSI 양산에 성공한 국내기업이다. [주가 및 기업실적] 현재 천보는 코스닥 시총 12위로 시가총액은 2조 2천억의 기업이다. 현재 주가는 224,200이며 여러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많이 떨어진 것이라 생각한다. 현재는 전고점 (367,100)대비 주가가 많이 하락한 상황이다. 매출 (2020년부터 40%이상 증가하는 기업) 매출액은 상장된 2019년 부터 매년 증가해왔다. 2020년에는 전체 매출이 약 15% 증가하였고, 특히 2021년에 74%의 엄청난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기업이다. 다만 2022년에는 전년비에 비.. 2022. 12. 11. 리튬이온배터리 코인셀(Coin cell) 부품 및 조립방법 리튬이온배터리나 기타 배터리를 연구하는 연구원중에 코인셀(Coin cell)을 만들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배터리의 현상을 규명하거나 간단히 실험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코인셀은 배터리를 연구하는 필수적인 실험방법이다. 현재, 가로가 2cm 두께가 3.2mm인 2032코인셀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코인셀은 작은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실제 양산되는 파우치셀에 비해 원가, 공간등 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준비물 및 코인셀(Coin cell) 부품 역할재료 : 양극(Cathode), 음극(Anode), 분리막(Separator), 전해액(Electrolyte)부품 : Bottom(1), Gasket(2), Top(3), Spacer(4), Spring(5) (사진 순서대로.. 2022. 12. 7. 리튬메탈배터리(Lithium metal battery)에 대한 이해 및 덴드라이트 형성 원인 리튬메탈배터리(Lithium metal battery)는 현재 사용하는 리튬이온배터리의 뒤를 이을 차세대배터리 후보로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음극을 리튬메탈을 사용하여 고용량에너지밀도를 구현할 수 있는 리튬메탈배터리를 이해하고 주된 단점인 덴드라이트의 형성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 1. 리튬메탈배터리의 이해 리튬메탈배터리는 현재 사용하는 삼원계배터리 및 인산철 배터리와 달리 음극을 리튬메탈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는 리튬이온을 흑연이나 실리콘에 저장하는 특징이 있다. 리튬메탈배터리에 사용되는 리튬메탈 음극은 현존하는 음극 소재 중 가장 높은 에너지밀도를 보유하고 있다. 2. 리튬메탈배터리의 장점 고에너지밀도 구현 리튬메탈배터리는 기존의 리튬이온배터리가 차지하는 흑연과.. 2022. 11. 30. 리튬이온배터리 : 반쪽셀(Half cell)의 이해와 용도 리튬이온배터리 관련 논문들을 찾아서 읽다보면 완전셀(Full cell)과 반쪽셀(Half cell)이 등장한다. 리튬이온배터리를 처음 접하는 입장에서 매우 혼란스러울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완전셀과 반쪽셀은 어떠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1. 반쪽셀(Half cell)에 대한 개념이해반쪽셀(Half cell)은 특정 전극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확인할 때 아주 용이한 장점이 있다. 예를들어 양극소재인 LCO, NCM, LNMO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살피고 싶을 때, 해당 소재와 리튬메탈을 사용하여 전지를 만들어 확인한다. 또한 음극 소재인 흑연(Graphite)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보고 싶을 때도 적용가능하다. 이때 반응에 참여하는 전극은 작업전극(Working .. 2022. 11. 29. 리튬이온배터리 전극 설계방법 : N/P Ratio 란 무엇인가? 배터리 제조사들이 전극을 설계할때 필수적인 요소는 N/P Ratio 이다. 금일 포스팅에서는 리튬이온배터리의 전극을 설계하는 주요 인자 중 하나인 N/P ratio의 계산방법과 문헌을 통해 실험결과를 통해 이해해보자. 1. N/P Ratio의미N/P Ratio란 음극(Negative electrode)의용량에서 양극(Positive electrode)의용량을 나눈값을 나타낸다.N/P Ratio > 1 경우 : 음극용량이 양극용량보다 더 많음N/P Ratio = 1 경우 : 양극과 음극용량이 같음N/P Ratio : 양극용량이 음극용량보다 더 많음통상적으로 리튬이온배터리 (양극:NCM, LFP, LMO등, 음극:Graphite)제조사들은 (1.1~1.2)값으로 음극용량이 더 많게 설계한다. 음극의 용량이.. 2022. 11. 25. 이전 1 ··· 13 14 15 16 17 18 다음